분류 전체보기 21

중국은 현재 위안화 가치 통제를 하고 있는것일까? 위안/ 원 환율로 비교해보기

아직 달러가 내려가지 않았음에도 원자재 가격이 매우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이는 분명한 공급에 문제이다. 경제적으로 밀접한 중국과 한국은 환율이 매우 비슷하게 움직이는데 21년도부터는 중국과 따로 움직이고 있다. 과거에도 이런시기가 분명 있었다. ​ 중국의 환율 통제 시기때이다. 정확히 중국이 환율을 통제하고 있는지 증거는 없다. 하지만 추측은 해볼 수 있다. 나는 중국이 위안화를 어느정도 통제하고 있다고 생각한다. 중국이 환율을 통제하는 이유는 여러가지가 있지만 이번에는 공급부족으로 인한 물가 때문으로 보인다. ​ 2005년전에는 고정환율제였고 이후에 관리변동으로 바꾸고 난뒤에도 2008년 2015년 통제를 했던 이력이 있다. 하지만 2014년까지는 중국의 위안화 가치가 저평가에서 정상적으로 돌아..

11월 금통위에서 한국은행 금리인상 할까? 어디 까지 올릴 수 있을까?

나는 11월달에 금리인상 1회 반드시 할 것이라 생각한다. 데이터들을 보면 현재 금리는 매우 낮은 수준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 ​ 그래프 1 10년국채 - 1년국채 금리 그래프 2 10년 국채금리 ​ 1번 그래프를 보면 한국은행이 어느정도 수준의 금융 환경을 생각하는지 알 수 있다. 앞으로 물가도 높은 수준을 유지할 것이고, 10년 국채금리도 더 오른다. 그에 따라 금리 인상도 필연적으로 진행 할 것 이다. ​ 그래프3 한국 가계부채 yoy ​ 그래프3은 한국 가계 부채 yoy이다. 보다시피 증가율이 매우 크다. 주요 국들중에서도 가장 빠른 부채 증가율을 보이고 있는데 이는 대부분 주택가격 때문이다. 부채 상승세로 지금 기준금리도 매우 낮다는걸 짐작 해 볼 수 있다. 기준금리 상승 초기 때는 아무런..

미국 10년 장기국채금리는 테이퍼링 이후에 어떻게 될까? 고점은 어디가 될까?

오른다. 나는 분명 최근 10년 국채금리가 내려가는 시점에도 국채금리가 오를 거라고 이야기 했다. ​ https://blog.naver.com/cowtome/222504743736 달러의 약세 시작, 미국의 경기 과열 올해 하반기 ~ 내년 초 쯤 부터 달러는 약세를 보일 것 이다. 미국은 과거에 포스팅대로 이미 고용의 호황... blog.naver.com ​ 그 후로 10년 국채금리가 올랐다. 하지만 테이퍼링 이후에는 내려 갈 것이라고 이야기 하는 분들이 필자 주변에 많은 듯하다. ​ 나는 그러면 그렇게 믿는 근거를 이야기 해달라고 한다. 여러 나라의 통계, 경제 데이터를 잘 보시는 분들은 거기에 근거하여 투자를 하시지만 그냥 과거에 테이퍼링 할 때 그랬었다. 라고 이야기 하는 것이라면 나는 아니라고 이..

카테고리 없음 2021.10.13

과연 공급 부족으로 주가가 오를까?

요즘 공급부족이라는 말이 정말 많이 보일 것 이다. 공급의 부족으로 제품 가격이 올라간다 > 해당 제품을 파는 주가의 상승 기대 라는 공식으로 대부분의 블로거, 유튜버들이 이야기를 하고 있으나, 나는 그렇게 생각하지 않는다. 개별로의 차이는 있어 오르는 주식도 있지만 큰 틀에서는 대부분 원자재 관련 기업들은 원자재 가격이 오름에도 주식이 보합이거나 내려가고 있다. 왜 그럴까 ? ​ ​ 그래프1 달러 인덱스 ↔ 재고 대비 판매 비율 그래프 1을 보면 달러 인덱스와 재고판매율이 상관관계가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기축통화인 달러로 거래하는 제품들의 수요는 달러에 매우 큰 상관이 있음을 짐작 할 수 있는 그래프이다. 달러를 버리고 다른것을 사는 시기에 수요가 많아지는 현상은 제조 수출 비중이 큰 우리나..

미국 인프라 투자는 꼭 해야할까 ? 미국 부채한도 협상 논의 리뷰

해야한다. 그냥 돈만 풀면 생산성은 하나도 없고 그냥 물가만 오르고 끝이 날 확률이 높다. - 실질 GDP는 낮고, 명목 GDP만 높음 정부는 달러(돈)을 시중에 주면서 무언가를 시켜야한다. 현재 미국에서 부채 유예 상한이 지체되고 있다. 재무부에 있는 돈을보면 앞으로 2주정도 더 쓸 수있는 돈이 있을뿐 더 버티기는 힘들다. (상원에서 옐런은 10월18일 정도가 한계라고 했다) 상원에 주요된 내용을 요약하면 이렇다. 1. 미국 부채 협의가 안 되면 진짜 큰 금융위기가 온다.(민주당 소수, 공화당 반대) - 공화당 : 우리 의견은 하나도 반영하지 않으면서 찬성하라고 하냐? 민주당 카드만으로 해결 할 수 있는걸 왜 우리를 자꾸 끌어들이는지 모르겠다. 금액이 안써져있는 수표를 사용할려고 하는건 멍청한 짓이다...

연준 FOMC, 파월은 약속을 지켰다.

과거에 이야기 한대로 이번 9/22 FOMC에서 파월이 테이퍼링 힌트를 분명이 줬다. https://sy-sy.tistory.com/13 테이퍼링 이슈/ 코스피 코스닥 이번 하락이 대세 하락장의 시작일까? 연준 8/17일 성명서 발표후 이머징 마켓이 하락을 했다. 정말 대세 하락장의 시작인가? 아니라고 생각한다. 하락은 일시적일 것이다. 나는 금리 상승, 달러 약세 수혜주를 사야한다고 포스팅을 했 sy-sy.tistory.com 내가 본 9/22 FOMC 주요 내용은 1. 큰 문제 없이 현재 수준을 이어간다면 곧 테이퍼링을 진행할 것 이다. - 11월 선언 12월 또는 1월 시작할 것으로 보임. 2. 테이퍼링은 내년 중순정도까지 끝내려고 하지만, 자산 매입속도는 아직 결정나지 않았다. - 12월~6월까지..

중국의 은행간 금리 인하는 멈춰간다

중국은 최근에 은행간 금리 인하가 멈춘 듯 하다. 초단기는 아직 박스권이지만 1개월 이상부터는 하락세를 멈춘것으로 보인다. 과거에 이야기했던 1년 국채도 하락세를 멈췄고 https://sy-sy.tistory.com/11 중국 상해종합지수는 언제 오를까?/ 중국 증시 중국 증시는 다른나라 증시가 오른것에 비해 정말 오르지 않았다. 자료1 최근 중국의 자국 기업 규제로 인하여 주가 자체가 오르질 못하는데 과연 중국 증시는 투자하면 안되는걸까 ? 결과적으 sy-sy.tistory.com 이야기 했던 한국의 금리인상도 시작되었다. https://sy-sy.tistory.com/10 은행주는 앞으로 더 오를까?/ 장기국채금리와 은행주 은행주는 미국과 한국 둘다 최근에 조정 받고 있다. 장기국채 금리가 내려갔기 ..

달러의 약세 시작, 미국의 경기 과열

올해 하반기 ~ 내년 초 쯤 부터 달러는 약세를 보일 것 이다. 미국은 과거에 포스팅대로 이미 고용의 호황이다. 과거 테이퍼링 시점보다 핵심 노동 인구의 고용 수준이 높다. GDP GAP도 축소되고 0 이상으로 올라 갈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그럼에도 아직 테이퍼링조차 하지 않았다. 이는 엄연한 경기 과열로 진입했다고 볼 수 있다. https://sy-sy.tistory.com/13 자료1 자료2 나는 현재가 가까운 과거를 보면 16년이후와 비슷해 보인다. 다른점도 물론 존재한다. 같은점은 미국의 고용시장이 호황이고 임금상승률도 높다는 것이다. 자료 1에서 보면 알겠지만 미국의 핵심노동인구 참여율이 저점이후 반등할 때 미국의 10년 국채금리도 오른다. 빈일자리수가 많고 노동자가 우위에 있는 시기이다. 그..

테이퍼링 이슈/ 코스피 코스닥 이번 하락이 대세 하락장의 시작일까?

연준 8/17일 성명서 발표후 이머징 마켓이 하락을 했다. 정말 대세 하락장의 시작인가? 아니라고 생각한다. 하락은 일시적일 것이다. 나는 금리 상승, 달러 약세 수혜주를 사야한다고 포스팅을 했다. 미국은 테이퍼링을 올해 시행할 것으로 보고 있다. 핵심 노동인구(25~54세) 참여율은 이미 과거 테이퍼링을 진행했던 시기보다 참여율이 높아졌다. 다른 데이터들을 봐도 미국은 경기 과열로 가고 있다. 과거로 치면 금리 인상을 해야할 시기이다. 연준이 원하는 고용은 이미 채웠다고 보여진다. 물가도 충분히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파월의 말대로 테이퍼링 시작하기 1분기(3개월) 전에 미리 이야기를 해준다고 한 약속이 맞으면 8월 잭슨홀, 9월 FOMC에서 발표할 가능성이 가장 높다. 물론 델타 바이러스에 대한..

한국 은행주는 왜 안오를까?

최근 은행주에 관한 포스팅을 했다. 대부분의 은행들은 2분기 영업이익이 높게 찍힘에도 이상하리 만큼 주가는 큰 변화가 없다. 계속 가지고 가도 될까? 결론적으로 말하면 가지고 있는사람은 계속 가져가면 되고 만약 은행주를 단 하나도 가지고 있지 않는 사람이면 포트폴리오에 담아두는것이 좋아보인다. 시장금리-예금금리 정도로 간단하게 은행의 순이익을 확인해 볼 수 있다. 기업은행을 예로 들겠다. 하기 자료1을 보면 리먼브라더스 이후 10년-1년 장단기 국채 금리 차이가 0.1~0.2 부근이 은행주 대부분의 저점이었다. 장단기 금리차가 0부근에 수렴할땐 대부분 경기 둔화로 금리 인하시기였고 금리 인하를 한뒤에 장기 국채가 오르면서 장단기 국채금리가 올라갔다. 자료1 현재 21년도는 장단기 금리차가 최근 10년 이..

산업 분석 2021.08.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