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 2

연준 FOMC, 파월은 약속을 지켰다.

과거에 이야기 한대로 이번 9/22 FOMC에서 파월이 테이퍼링 힌트를 분명이 줬다. https://sy-sy.tistory.com/13 테이퍼링 이슈/ 코스피 코스닥 이번 하락이 대세 하락장의 시작일까? 연준 8/17일 성명서 발표후 이머징 마켓이 하락을 했다. 정말 대세 하락장의 시작인가? 아니라고 생각한다. 하락은 일시적일 것이다. 나는 금리 상승, 달러 약세 수혜주를 사야한다고 포스팅을 했 sy-sy.tistory.com 내가 본 9/22 FOMC 주요 내용은 1. 큰 문제 없이 현재 수준을 이어간다면 곧 테이퍼링을 진행할 것 이다. - 11월 선언 12월 또는 1월 시작할 것으로 보임. 2. 테이퍼링은 내년 중순정도까지 끝내려고 하지만, 자산 매입속도는 아직 결정나지 않았다. - 12월~6월까지..

한국은행은 금리 인상을 할까? 증시는 어떻게 될까?

한국 은행이 최근에 금리 인상을 할 것이다 라는 시그널을 보내고 있습니다. 과연 금리 인상을 한다면 언제쯤 하게될까? 이주열 총재가 금리 인상을 할것이라고 강하게 이야기 하기 시작했습니다. 한국은 반드시 21년 10월~11월에 금리를 인상하기 시작해야 합니다. 결론 적으로 올해 말 0.25% 인상, 내년 초 0.25% 인상은 필연적이다 라고 생각합니다. 한은이 생각하는 한국의 올해 GDP 성장률은 4%로 상향조정 되었습니다. 이말의 뜻은 앞으로 물가 상승 압력이 더 심해질 것이라는 말과 다르지 않습니다. 한국 뿐만 아니라 모든나라가 양적완화 종료, 금리 인상 등 긴축적으로 가야할 시기가 오고 있습니다. 양적완화를 하고 있는 나라들은 자산 매입을 축소해야하고 한국과 같이 양적완화를 못한 나라들은 금리 인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