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분석 5

한국 은행주는 왜 안오를까?

최근 은행주에 관한 포스팅을 했다. 대부분의 은행들은 2분기 영업이익이 높게 찍힘에도 이상하리 만큼 주가는 큰 변화가 없다. 계속 가지고 가도 될까? 결론적으로 말하면 가지고 있는사람은 계속 가져가면 되고 만약 은행주를 단 하나도 가지고 있지 않는 사람이면 포트폴리오에 담아두는것이 좋아보인다. 시장금리-예금금리 정도로 간단하게 은행의 순이익을 확인해 볼 수 있다. 기업은행을 예로 들겠다. 하기 자료1을 보면 리먼브라더스 이후 10년-1년 장단기 국채 금리 차이가 0.1~0.2 부근이 은행주 대부분의 저점이었다. 장단기 금리차가 0부근에 수렴할땐 대부분 경기 둔화로 금리 인하시기였고 금리 인하를 한뒤에 장기 국채가 오르면서 장단기 국채금리가 올라갔다. 자료1 현재 21년도는 장단기 금리차가 최근 10년 이..

산업 분석 2021.08.18

은행주는 앞으로 더 오를까?/ 장기국채금리와 은행주

은행주는 미국과 한국 둘다 최근에 조정 받고 있다. 장기국채 금리가 내려갔기 때문인데 과연 은행주의 방향은 어디로 갈까? 하기 그래프는 장기 국채금리가 오를 시기에 은행주 사야한다는 걸 보여준다. 장기 국채금리가 오를시기에는 은행주가 S&P 500보다 초과 상승을 해왔다. 자료1 최근 장기국채금리는 하락중이나 일시적으로 본다. 앞으로 장기 국채금리는 더 오를 것이다. https://sy-sy.tistory.com/9 IT 기술주 투자 참고/ 장기 국채금리 하락은 일시적이다. 앞으로 음슴체로 작성하겠습니다. 해외, 국내 IT기술주 투자자들이면 꼭 참고해야할 지표가 있다. 10년 장기국채금리이다. 이 지표는 미래의 리스크, 물가 등을 반영하는 지표이다. 우리나라와 sy-sy.tistory.com 하지만 실제..

산업 분석 2021.08.08

IT 기술주 투자 참고/ 장기 국채금리 하락은 일시적이다.

앞으로 음슴체로 작성하겠습니다. 해외, 국내 IT기술주 투자자들이면 꼭 참고해야할 지표가 있다. 10년 장기국채금리이다. 이 지표는 미래의 리스크, 물가 등을 반영하는 지표이다. 우리나라와 미국, 중국 등 10년 국채금리를 비교해보면 큰 틀에서 같은 방향으로 움직인다. 자료1 나스닥 100은 미국 기술주 ETF이다. 나스닥의 총 주가지수로 나누어보면 해당기간 나스닥 지수에비해 얼마나 오른지 확인 할 수 있다. 자료1은 2008년이후에 나스닥100/나스닥 종합지수와 미국10년 국채금리를 비교한 그래프이다. 해당 그래프를보면 10년 금리의 고점은 나스닥 100의 저점과 동일했다. IT 기술주는 물가와 상관관계가 있다. 예를들면 유튜브 레드(프리미엄)은 수요가 늘어난다고 공급이 부족하지 않고 가격도 유동적이지..

산업 분석 2021.08.08

보험의 매수 기회/ 삼성화재, DB손해보험, 현대해상, 메리츠화재, 한화손해보험

보험업종은 금리 상승기때 RBC 비율은 하락하지만 그 이상의 이득을 보는 업종입니다. - 현재 RBC는 150% 밑으로만 하락하지 않으면 크게 신경 쓰지 않으셔도 무방하다 생각합니다. 보험도 달러가 약세로갈때 수혜주다 라고 생각하시는 분들이 많은데 생명사들은 실제로 달러약세, 물가상승 금리상승에 큰 수혜주로 내년까지보면 투자가 나쁘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 주로 금리상승기에는 생명사가 손보사들 보다 영업이익이 좀 더 괜찮습니다. 저는 생명사들도 좋지만 23년도에 적용될 IFRS17 금리상승기 모두가 좋은 손해보험사들을 매수하기 좋다고 생각합니다. 앞으로 적용될 IFRS17은 현재 보험사들의 영업이익을 적게는 1.5배~3배 정도까지 올라가게 되는 정말 큰 변화입니다. IFRS17의 이론적인 도입취지는 큰 ..

산업 분석 2021.08.03

유가는 어떻게 될까? / 석유화학 정유 산업

최근 유가가 70불을 넘었습니다. 유가를 보며 유가에 대한 투자를 생각하시는 분들도 많을거라 생각합니다. ​ 결론적으로 말하자면 유가는 높게 유지될 확률이 매우 높습니다. ​ 과거 트럼프 전 대통령 시절만 해도 WTI 가격이 높을 때는 원유시추도 증가 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원유시장에서 비OPEC 미국의 입지가 커져 OPEC에서 아무리 감산을 하여도 이득은 미국이 보는 그림이 나왔었습니다. - OPEC에서 감산을해도 미국이 증산을하여 기름가격을 높게 유지 시킬수 없었음 ​ 하지만 최근에는 다른 모습이 보여집니다. 이미 원유가격은 과거 17~18년도를 넘었으나 원유 시추수는 과거에 절반도 되지를 않습니다. 미국은 기름값을 높게 유지시킬 필요가 있기 때문입니다. ​ ​ ​ 기름값이 높으면 모두가 안 좋은거..

산업 분석 2021.08.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