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은 최근에 은행간 금리 인하가 멈춘 듯 하다.
초단기는 아직 박스권이지만 1개월 이상부터는 하락세를 멈춘것으로 보인다.
과거에 이야기했던 1년 국채도 하락세를 멈췄고
중국 상해종합지수는 언제 오를까?/ 중국 증시
중국 증시는 다른나라 증시가 오른것에 비해 정말 오르지 않았다. 자료1 최근 중국의 자국 기업 규제로 인하여 주가 자체가 오르질 못하는데 과연 중국 증시는 투자하면 안되는걸까 ? 결과적으
sy-sy.tistory.com
이야기 했던 한국의 금리인상도 시작되었다.
은행주는 앞으로 더 오를까?/ 장기국채금리와 은행주
은행주는 미국과 한국 둘다 최근에 조정 받고 있다. 장기국채 금리가 내려갔기 때문인데 과연 은행주의 방향은 어디로 갈까? 하기 그래프는 장기 국채금리가 오를 시기에 은행주 사야한다는 걸
sy-sy.tistory.com
나는 하반기에 본격적으로 중국이 긴축을 한다고 생각한다. 유럽도 동일하게 하반기부터 긴축할 것으로 보고 있다.
미국의 임대료 상승, 임금상승 등의 인플레이션 요소가 있으나 긴축이 없는 점 등 모두 달러 약세 요인이다.
한국은 환율이 1180정도까지도 나오고 있다. 달러에 비해 원화가 약세인 구간이다. 하지만 중국은 그런모습을 보여주지 않고 있다. 이는 한국이 유독 약세를 보이고 있는게 맞는 해석인거 같다.
원화가 약세일 때 주식들 매도가 나오기 좋다. 이때를 매수의 기회로 봐야한다. 앞으로 테이퍼링 이야기가 나오면 1200원 가까이 갈수도 있다. 기존에 달러 약세주를 보유하고 있는 분들은 그냥 가지고 가면 될 것으로 보이고, 없는 사람들은 조정받으면 분할로 매수를 추천한다.
'거시 경제 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 인프라 투자는 꼭 해야할까 ? 미국 부채한도 협상 논의 리뷰 (1) | 2021.10.03 |
---|---|
연준 FOMC, 파월은 약속을 지켰다. (1) | 2021.09.24 |
달러의 약세 시작, 미국의 경기 과열 (0) | 2021.09.13 |
테이퍼링 이슈/ 코스피 코스닥 이번 하락이 대세 하락장의 시작일까? (0) | 2021.08.22 |
2021 증시 서머 렐리가 나올까 ? (0) | 2021.08.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