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험업종은 금리 상승기때 RBC 비율은 하락하지만 그 이상의 이득을 보는 업종입니다.
- 현재 RBC는 150% 밑으로만 하락하지 않으면 크게 신경 쓰지 않으셔도 무방하다 생각합니다.
보험도 달러가 약세로갈때 수혜주다 라고 생각하시는 분들이 많은데 생명사들은 실제로 달러약세, 물가상승
금리상승에 큰 수혜주로 내년까지보면 투자가 나쁘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 주로 금리상승기에는 생명사가 손보사들 보다 영업이익이 좀 더 괜찮습니다.
저는 생명사들도 좋지만 23년도에 적용될 IFRS17 금리상승기 모두가 좋은 손해보험사들을 매수하기 좋다고 생각합니다.
앞으로 적용될 IFRS17은 현재 보험사들의 영업이익을 적게는 1.5배~3배 정도까지 올라가게 되는 정말 큰 변화입니다.
IFRS17의 이론적인 도입취지는 큰 틀에서 보면 두가지인데, 핵심은 CSM 상각스케줄이 매우 중요하게 바뀔겁니다.
1. 보험부채 공정가치 평가
2. 보험수익 인식방법 변경
이게 예정대로 23년도에 적용이 되면 간단히 말해서 매출은 하락, 당기순이익이 큰 폭으로 증가하게 됩니다.
- 매출은 반토막정도 날 듯 보이고 순이익은 회사마다 다르겠지만 1.5~3배정도 늘어나는 구조로 바뀝니다.
손보사들은 현재도 과거 순이익 대비 확실한 저평가이며 앞으로 23년도에 도입 될 IFRS17대비 극심한 저평가입니다.
삼성화재, DB손해보험, 현대해상, 메리츠화재, 한화손해보험 등 주요 손보사들은 저평가 구간으로 앞으로 오는 금리상승기(장,단기)에 안 가지고 갈 이유가 없다고 보여집니다.
한국은행은 금리 인상을 할까? 증시는 어떻게 될까?
한국 은행이 최근에 금리 인상을 할 것이다 라는 시그널을 보내고 있습니다. 과연 금리 인상을 한다면 언제쯤 하게될까? 이주열 총재가 금리 인상을 할것이라고 강하게 이야기 하기 시작했습
sy-sy.tistory.com
회사의 개별 사업 분석이 힘드시면 KODEX 보험 ETF를 매수하는것도 나쁘지 않은 방법이라고 생각합니다.
'산업 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 은행주는 왜 안오를까? (0) | 2021.08.18 |
---|---|
은행주는 앞으로 더 오를까?/ 장기국채금리와 은행주 (0) | 2021.08.08 |
IT 기술주 투자 참고/ 장기 국채금리 하락은 일시적이다. (0) | 2021.08.08 |
유가는 어떻게 될까? / 석유화학 정유 산업 (0) | 2021.08.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