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시 경제 분석

미국 테이퍼링 어떤 식으로 진행이 될까? -2 결론

2021. 8. 1. 07:21

물가가 높게 찍혀서 금리를 올려야하고 달러 강세가 나올텐데?

 

미국 물가가 지속적으로 높게 나오기 때문에 긴축을 할 수 밖에 없다라고 이야기를 하시는 분도 주변에 많이 계십니다.

하지만 저는 물가가 공급부족으로 정말 높게 올라가겠지만 공급이 정상화 되면서 다시 적정 수준으로 내려 올 것이라 생각합니다.

- 물가가 마이너스로 간다는 뜻이 아닙니다. 당분간 물가는 높게 유지될 확률이 높습니다.

현재 미국이 저정도 돈을 풀고 있을 때(양적완화, 실업급여 등) 미국 내부에서 달러가 계속 순환될 경우 물가는 상상이상으로 높게 나오는게 맞습니다만.. 미국은 경상수지 적자로써 아무리 돈을 많이 풀어도 내부에서만 달러가 돌지 않습니다.

돈은 미국이 풀지만 물가는 전세계가 같이 오를겁니다.

미국 경상수지

앞으로 미국 내부에서도 통화 유통속도가 빨라져 물가도 높게 유지될 것입니다.

하지만 미국 경상수지 적자 폭은 더욱 커질겁니다.

현재는 공급부족으로 높게 지속불가능 한 수준으로 PPI가 올라갔지만 시간이 지나공급부족이 해결되면 적당히 높은 수준으로 돌아옵니다.

미국에 기업들은 지금 연준, 정부가 달러를 풀 때 달러를 버리고 실물자산을 사야한다는 것(경상수지 적자)을 누구보다도 잘 알고 있습니다.

현재 물가를 보고 테이퍼링은 최악의 선택입니다.

테이퍼링을 할 때 달러가 강세로 가지 않고 안정적인 방법이 있는가?

21년도 하반기 미국을 제외한 주요 국들이 통화 긴축으로 갈 것 으로 전망합니다.

과거에도 동일한 현상이 있었습니다. 밑에 자료처럼 주요국들은 침체가 오고 난 후 미국포함 모두가 금리를 내리고, 미국보다 먼저 금리를 올려야 합니다.

- 물가 상승 압박

- 미국보다 금리를 늦게 올릴경우 해외자본 이탈

물론 나라 상태가 좋지 않아?(코로나 백신접종 늦음 등) 어쩔 수 없는 나라도 있을 것이나 대부분 나라들이 미국보다 먼저 올릴려고 할 것 입니다.

https://stats.bis.org/statx/srs/table/l1

 

BIS Statistics Explorer: Table L1

stats.bis.org

- 결론

2021년도 하반기 미국을 제외한 주요국들의 긴축

2022년도 초 미국 테이퍼링

연준은 주요국들이 통화 긴축으로 가기전에 테이퍼링을 하지 않을 확률이 높다고 생각합니다. 안정적으로 테이퍼링을 할려면 주요국들의 긴축을 기다려야 합니다.

8월 잭슨홀 미팅 때 이야기가 나올 확률이 높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높은 부채로 인하여 금리는 당분간 올릴 수 없습니다.

장기국채 금리는 현재 일시적으로 내리고있으나 장기적으로 상승 압박이 상당히 심해질 겁니다.

하지만 미국은 장기국채금리를 일정수준유지를 하거나 내리게 만들 확률이 높습니다.

실제로 할 수있는건 없습니다. 주요 인사들의 입으로, 블러핑을 통하여 금융시장으로 돈이 쏠리는것을 견제하고 장기 국채금리를 낮게 유지시키는.. 말로써 겁을주면서 컨트롤 하는 방법 밖에 없다고 생각합니다.

미국은 물가를 일정수준 이상 유지하며, 장기국채 금리는 일정 수준 이하로 낮게 가져감으로 부채를 털고 금리를 올릴거라 생각합니다.

미국은 현재 부채를 탕감하는 시기가 꼭 필요합니다.

그래서 저는 당분간 미국의 경상수지 적자폭은 큰폭으로 유지 될 것이며 달러 약세를 전망합니다.

주식을 하신다면 미국주식이 아니라 미국외에 이머징 증시.

- 한국, 중국, 인도, 베트남 등

미국외에 이미징 마켓에 달러 약세, 금리 상승(장,단기), 물가 상승 수혜주를 매수하는 것을 권합니다.

#한국 #미국 #중국 #일본 #유럽 #경제 #테이퍼링 #코스피 #코스닥 #나스닥

#금리 #물가 #인플레